셀트리온제약은 대기 및 수질 오염물질로 인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적 배출 허용 기준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은 물론, 한층 강화된 자사만의 기준을 마련하여 보다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기와 수질의 오염을 예방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구분 |
상세구분 |
단위 |
배출허용기준 |
2022 |
2023 |
2024 |
수질오염물질 |
BOD 배출 농도 |
mg/L |
30 |
5.8 |
0.8 |
0.9 |
TOC 배출 농도 |
mg/L |
25 |
3.0 |
2.3 |
3.9 |
SS 배출 농도 |
mg/L |
30 |
13.4 |
6.5 |
3.0 |
T-N 배출 농도 |
mg/L |
60 |
5.3 |
4.4 |
12.1 |
T-P 배출 농도 |
mg/L |
8 |
0.9 |
0.4 |
1.1 |
BOD 배출량 |
톤 |
- |
0.40 |
0.05 |
0.05 |
TOC 배출량 |
톤 |
- |
0.21 |
0.15 |
0.22 |
SS 배출량 |
톤 |
- |
0.93 |
0.42 |
0.17 |
T-N 배출량 |
톤 |
- |
0.37 |
0.28 |
0.67 |
T-P 배출량 |
톤 |
- |
0.06 |
0.03 |
0.06 |
대기오염물질 |
먼지 배출 농도 |
mg/S㎥ |
30 |
2.70 |
2.20 |
1.10 |
황산화물 배출 농도 |
ppm |
70 |
3.30 |
1.60 |
0.00 |
질소산화물 배출 농도 |
ppm |
60 |
50.15 |
45.75 |
22.15 |
먼지 배출량 |
톤 |
- |
0.33 |
0.53 |
0.20 |
황산화물 배출량 |
톤 |
- |
0.40 |
0.60 |
0.00 |
질소산화물 배출량 |
톤 |
- |
7.15 |
8.81 |
3.48 |
1) 대기오염물질 관리
셀트리온제약은 반기별·월별 자가측정을 통해 대기 오염물질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매일 순회 점검을 통해 방지시설의 적법 운영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법적 기준을 넘어선 자사만의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오염물질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2) 수질오염물질 관리
셀트리온제약은 폐수처리 모니터링, 반기 자가측정 및 강화된 사내 배출허용기준을 통해 철저한 수질 관리를 실시합니다. 생산공정과 유틸리티 설비에서 발생한 폐수는 공장 내 폐수처리장에서 정화한 후 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로 유입해 수질오염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1) 폐기물 재활용 강화
셀트리온제약은 2022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재활용률을 향상시켜 왔습니다. 폐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처리오니는 전량 재활용되어 연료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폐유기용제 또한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재활용되지 않는 폐기물에 대해서도 향후 재활용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폐기물 발생량 및 재활용률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폐기물 발생 목표 |
톤 |
450 |
475 |
500 |
폐기물 발생량 |
톤 |
418.38 |
443.16 |
463.61 |
폐기물 재활용량 |
톤 |
3.72 |
11.35 |
145.12 |
폐기물 재활용률 |
% |
0.9 |
2.6 |
31.3 |
2) 수자원 재활용 및 오〮폐수 배출 최소화
셀트리온제약은 제조 과정에서 용수 사용을 최소화하고 재이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순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RO 역세수를 재활용하는 용수 재이용 시설을 구축하여 매년 용수 사용량을 줄이고 있으며, 오수와 폐수 배출량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용수 사용량 및 오/폐수 배출량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용수 사용량 목표 |
톤 |
170,000 |
150,000 |
140,000 |
총 사용량 |
톤 |
144,543 |
132,337 |
129,965 |
공업용수 사용량 |
톤 |
40,330 |
39,049 |
39,205 |
생활용수 사용량 |
톤 |
104,213 |
93,288 |
90,760 |
오/폐수 배출량 |
톤 |
69,177 |
64,703 |
55,333 |
셀트리온제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직접 배출(Scope 1)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차로 전환하고, 보일러를 초저녹스버너로 교체하는 등 실질적인 감축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간접 배출(Scope 2)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공기조화기에 인버터를 도입하여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있습니다. 향후 태양광 발전 시스템 도입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비 설치 등의 계획도 수립하여 지속적인 배출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2024 |
온실가스 배출량 |
tCO2-eq |
16,430 |
16,135 |
15,706 |
15,490 |
설비 투자 현황 |
- |
- |
보일러 1기 초저녹스버너 설치 |
공기조화기 인버터 도입 |
초저녹스버너 및 공기조화기 인버터 추가 도입 |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의견서
셀트리온제약은 에너지 절감 및 효율 개선을 위해 신규 설비 도입, 설비 운전 방식 개선 등 다양한 에너지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년 초저녹스버너와 공기조화기 인버터를 추가로 도입하여 배출 온실가스를 줄이고 있으며, 향후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사업장 내 에너지효율화 달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에너지 사용량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총 에너지 사용량 |
TJ |
329.905 |
321.443 |
317.183 |
연료 에너지 사용량 |
TJ |
110.156 |
104.017 |
101.286 |
전기 에너지 사용량 |
TJ |
219.749 |
217.426 |
215.897 |
에너지 사용량 집약도 |
TJ/억원 |
0.085 |
0.082 |
0.066 |